본문 바로가기
동화이야기

[한국 전래동화] 방귀로 시댁을 제압하다?! 방귀쟁이 며느리 줄거리

by 별빛베리 2025. 7. 15.
반응형

한국-전래동화-방귀로-시댁을 제압하다-방귀쟁이-며느리-줄거리

 

방귀쟁이 며느리 동화는 다소 낯설지만, 시어머니와의 갈등을 특유의 기지로 해결하는 며느리의 활약이 돋보이는 흥미로운 이야기입니다. 이 글에서는 방귀쟁이 며느리 줄거리와 함께, 같이 읽으면 좋은 한국 전래동화 3편을 소개합니다.

 

1. 방귀쟁이 며느리 줄거리 요약

한국 전래동화 속에는 시대의 풍자, 민중의 지혜, 그리고 유쾌한 해학이 담긴 이야기들이 많습니다. 그중 방귀쟁이 며느리 동화의 줄거리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죠.

 

 

 

 

옛날 어느 집 며느리가 점점 얼굴이 누렇게 뜨고 병색이 도는 것을 본 시부모가 걱정하며 무슨 일인지 물었습니다. 며느리는 사실 방귀를 참느라 아프다고 말합니다. 시부모는 편하게 방귀를 뀌라고 허락하자, 며느리는 각각 고정되어 있는 집 구조물을 붙들거나 솥뚜껑 등을 들고 있으라고 주의를 줍니다.

방귀를 뀌자 집이 통째로 날아갔다. 시부모는 기둥이나 문짝에 겨우 매달려 있었고, 남편과 시누이도 겨우 버티고 있었습니다. 결국 시부모는 이대로는 안 되겠다며 며느리를 친정으로 돌려보냅니다.

유기장수와-비단장수와-배따기-내기를-한-며느리

 

며느리는 시아버지와 함께 친정으로 향하던 중 유기장수와 비단장수를 만나 배나무에 열린 배를 따 주면 유기와 비단을 주겠다는 제안을 듣습니다. 이에 며느리는 또다시 강력한 방귀를 뀌어 배를 떨어뜨리고 유기와 비단을 얻게 됩니다. 이를 본 시아버지는 며느리의 방귀가 쓸모 있다는 것을 깨닫고, 그녀를 다시 데리고 집으로 돌아갑니다.

 

2. 방귀로 시집살이 극복?

1️⃣ 며느리의 현실과 지혜

방귀쟁이 며느리 이야기는 유쾌하고 우스운 내용이기는 하나, 조선시대 여성의 현실과 맞닿아 있습니다. 당시 여성들은 시집살이와 시어머니의 통제 아래 살아야 했고, 순종과 침묵을 미덕으로 강요받았습니다. 이 이야기의 주인공은 방귀를 통해 그 억압된 상황을 정면 돌파하며, 자기 목소리를 낸 여성 서사 중 하나로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방귀는 일반적인 생리현상이 아니라, 자기주장과 해방의 상징입니다. 며느리는 이를 무기 삼아 억눌린 자신의 처지를 단번에 역전시킵니다. 이는 민담 속 여성들이 겪는 부당한 현실을 유쾌하게 극복하는 방식으로 그려졌으며, 능동적인 여성상이 전면에 등장하는 드문 예이기도 합니다.

 

2️⃣ 유머 속에 숨은 사회 비판

참고문헌 [한국문화대백과사전]에 따르면 방귀쟁이 며느리는 생활 속 금기를 유쾌하게 깬다는 점에서 해학적이고, 당대 여성의 고된 삶을 풍자하는 기능을 지녔다고 설명됩니다. 방귀는 혐오나 부끄러움의 대상이 아니라, 고통을 참던 며느리가 마침내 터뜨리는 저항의 상징입니다.

 

 

더불어 이 이야기는 웃음을 유도하면서도, 시집 권력 구조 속에서 며느리가 얼마나 억눌리고 있었는지를 은근히 꼬집습니다. 말 대신 방귀로 해결했다는 설정은, 말할 수 없었던 시대의 여성들이 어떤 방식으로든 존재감을 드러내고자 했던 민중의 지혜와 상상력을 보여준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3. 함께 읽어보면 좋은 한국 전래동화

🐢 1️⃣ 토끼전 (별주부전)

바다 용왕이 병을 고치기 위해 토끼의 간을 구하려 하지만, 토끼는 재치로 위기를 모면합니다. 지혜로운 약자의 승리라는 구조가 방귀쟁이 며느리와 닮았습니다. 또한 사회 권력(용왕)에 대한 풍자라는 점에서도 맥을 같이합니다.

 

[한국전래동화] 토끼의 간을 찾아 떠나는 토끼전(별주부전) 이야기

토끼전은 [토생원전], [토별전], [수궁가] 등 다양한 명칭이 있는 조선 후기의 판소리계 고전 소설로, 원래의 정식 명칭은 ‘수궁전’이며, 대중적으로는 "토끼전"이나 "별주부전"으로 더 널리 알

forest-of-violet.co.kr

 

🍚 2️⃣ 흥부와 놀부

가난하지만 착한 흥부가 제비를 살려준 인연으로 복을 받고, 욕심 많은 놀부는 벌을 받는 이야기입니다. 선한 인물이 보상을 받는 ‘권선징악’ 구조로, 민중의 바람이 투영된 전형적인 풍자 동화입니다.

 

[한국 전래동화] 흥부와 놀부 동화 이야기 알아보기

형제애와 욕심에 관한 교훈 한국의 대표적인 전래동화 '흥부와 놀부'에 대해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십니다. 이 이야기는 단순한 아동 동화를 넘어 현대 사회에도 깊은 통찰력을 주는 교훈이 담겨

forest-of-violet.co.kr

 

 

👠 3️⃣ 콩쥐팥쥐

콩쥐는 계모와 이복동생 팥쥐에게 구박받지만, 도움을 받아 시련을 극복하고 왕비가 됩니다. 억눌린 여성의 회복 서사라는 점에서 방귀쟁이 며느리와 비슷한 결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 전래동화] 순화된 콩쥐팥쥐 동화 줄거리와 원작의 차이

한국의 대표적인 전래동화 콩쥐팥쥐 한국의 대표적인 전래동화 '콩쥐팥쥐'에 대해 들여다보려고 합니다. 혹시 어릴 적, 콩쥐가 무명 치마를 입고 두꺼비나 참새들의 도움을 받는 장면 기억하시

forest-of-violet.co.kr

 

 

🖋 민중의 지혜, 유쾌한 해학으로 남다르게 읽는 전래동화 이야기를 마치며..

한국 전래동화 방귀쟁이 며느리는 유쾌하고 해학적인 이야기로 웃음을 주지만, 동시에 전통 사회 속 억압과 갈등을 지혜롭게 풀어낸 생활 풍자 동화입니다. 다른 전래동화들도 함께 읽으면 한국 설화 속 민중의 정서와 지혜를 더욱 깊이 느낄 수 있습니다.

 

 

 

이제 ‘착하기만 한 주인공’이 아니라,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인물에 주목해 보는 건 어떨까요?

반응형